질그릇을 통해본 신석기시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15:13
본문
Download : 신석기질.hwp
그러므로, 여기서는 한국의 대표적 신석기시대 유적인 중서부 지역의 암사동유적, 남해안 지역의 동삼동유적, 중부 동해안 지역의 오산리 유적의 질그릇을 과학분석 방법을 통한 복원을 시도함으로써, 그 복원과정에서 일정한 크기의 질그릇이 완성되는데 걸리는 시간과 재료의 양을 재어, 신석기인들이 질그릇 만들기에 기울인 노동력을 알아보며, 질그릇의 형식을 나누는데 알맞는 기준으로 분류체계를 세울려고 한다. 그런데 형식분류와 비교에만 치중하여 질그릇을 연구한다면, 질그릇이 누구에 의해, 언제, 무슨 연장을 써서,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으며, 또 어떻게 사용되었는가와 같은 내용은 알아낼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과학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질그릇의 성분, 구운 온도를 가늠하려는 등 질그릇 만들기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으며, 나아가 재료의 산지를 연구하면 신석기인들이 둘레의 자원을 어떻게 이용하였으며 그들의 활동 반경이 얼마나 되었는지도 가늠할 수 있다
Ⅴ. 맺음말
Ⅱ. 질그릇 만든 기술의 분석과 복원
질그릇에 대한 우리나라의 많은 연구는 주로 그릇꼴이나 무늬의 형식분류와 비교에 힘써왔다. 나아가 질그릇을 통해서 신석기인들의 살림을 밝혀보려 한다.
질그릇을 통해본 신석기시대
Ⅰ. 머리글
설명
Download : 신석기질.hwp( 45 )
3. 구운 온도와 가마의 추정
1. 그릇꼴 분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질그릇 무늬그릇 질그릇무늬 유물 / <조선고고학개요>,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도서출판 새날, 1989 <남경유적에 관한 연구>, 김용간․석광준,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1984 <조선의 신석기시대>, 서국태, 사회과학출판사, 1986 <고고학개론>, 이선복, 이론과 실천, 1995 (역사)
2. 연장 갖춤새의 분석
Ⅲ. 질그릇의 형식 분류
순서
<조선의 신석기시대>, 서국태, 사회과학출판사, 1986
Ⅳ. 질그릇을 통해본 신석기시대의 살림





질그릇 무늬그릇 질그릇무늬 유물
4. 세 유적의 자원영역과 살림 방식
1. 재료의 마련
1. 세 유적 질그릇 갖춤새의 비교
(history)
<고고학개론>, 이선복, 이론(理論)과 실천, 1995
질그릇 무늬그릇 질그릇무늬 유물 / <조선고고학개요>,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도서출판 새날, 1989
4. 질그릇 만든 시기와 만든 이
2. 물그릇 만들기
2. 무늬의 분류
Ⅰ. 머리글
5. 신석기시대의 살림살이
Ⅱ. 질그릇 만든 기술의 분석과 복원
3. 동식물 갖춤새의 분석
다.
<남경유적에 관한 연구>, 김용간․석광준,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1984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유물이 질그릇임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누구에 의해 얼마만한 노동력을 들여 만들어졌던가는 그다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