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 영업양도 등 고용불안과 노조의 대응방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8:07
본문
Download : 합병.hwp
M&A결과는 노동자들의 근로조건과 고용안정 그리고 노동조합의 활동에 많은 influence(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잘 알고 대처하지 않으면 안된다된다.
나) 자금조달방법에 따라 차입매수( LBO)냐 순수 자기자본에 의한 매수냐로 구분할 수 있지만 순수자기자본에 의한 인수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순서
합병
합병 , 합병, 영업양도 등 고용불안과 노조의 대응방침경영경제레포트 , 합병
다.
4. M&A에 대한 대응
합병,경영경제,레포트
합병, 영업양도 등 고용불안과 노조의 대응방침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합병.hwp( 57 )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가) 인 수
협상이나 강압적 수단에 의하여 타기업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매수한 후 피…(투비컨티뉴드 )나) 합 병
2. M&A 종류
가) 경영권 확보방법에 따라 우호적 M&A와 적대적 M&A로 구분된다된다.
다) 경영권 인수주체에 따라 경영자 매수(MBO : Management Buyout)와 종업원
3. 영업양도, 양수와 자산인수의 문제
가) 사업(영업)의 양도·양수
나) 주요 사업용 자산의 매매(P&A)
다) `영업의 양도·양수`냐 `자산의 매매`냐에 따라 고용승계의무가 갈리게 되므로 노동조합에서는 이에 대한 판단을 정확히 하여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된다. 한마디로 `경영권을 쟁탈함으로써 기업을 인수합병하여 이윤을 획득하는 과정`이 곧 M&A라고 할 수 있따
M&A를 어렵게 만들었던 대표적 조항인 의무공개매수제도(예를 들어 보유한 주식의 합이 25%를 넘으면 적어도 50% 이상의 수량을 무조건 공개매수해야 한다는 제도)가 사실상 폐지됨으로써 M&A가 매우 쉽게 진행될 수 있게 되었다. 자본측은 자산의 매매인 경우 고용승계 의무가 없기 때문에 삼미특수강의 예처럼 영업의 양수·도임에도 불구하고 자산매매로 위장하는 경우가 많다.
합병, 영업양도 등 고용불안과 노조의 대응방침
Ⅰ. 고용불안 유발 요인들
1. M&A란 무엇인가?M&A는 합병(Merger)과 인수(Acquisition)를 일컫는 용어로, 주식지분의 이동을 통해 경영권을 획득하고 이윤을 창출하는 것을 目標(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