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질병과 의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13:57
본문
Download :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질병과 의약.hwp
..
다. 갑골문의 고(蠱)자는 그릇 속에 작은 벌레들이 들어 있는 모양을 그리고 있따 채소 속에도 벌레가 들어 있고, 썩은 고기에서 구더기가 생기는 것은 고인들이 흔히 보아왔던 일이다. 예를 들면 `바람에 의하여 병이 생겼습니까?` 라고 하여, 상나라 사람들은 몸이 쇠약해도 기후의 변화에 適應(적응)하지 못하여 병이 생긴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 만일 병의 원인을 알지 못하고 함부로 약을 쓴다. 예를 들면 `상제께서 왕에게 병이 생기게 하였습니까?` `상하 뭇 신령들께서 왕에게 병이 생기도록 하시지 않았습니까?` `병이 생겼으니, 황윤께서 병이 나도록 하셨습니까?` 라고 하여 병을 내릴 수 있는 신령은 상제. 자연계의 뭇 신들과 선조를 포함하고 있따 그러므로 모든 귀신들은 전부 재앙을 내려 병이 나게 할 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따 두 번째는 갑작스런 기후의 변화이다. 만일 병의 Cause 을 알지 못하고 함부로 약을 쓴다면 어쩌다가 우연히 치료의 효과(效果)를 거둘 수 있을 뿐이다.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질병과 의약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병의 Cause 에 관한 진단의 정확성 여부가 증상에 대하여 약을 쓸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된다... ,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질병과 의약인문사회레포트 ,
병의 요인에 관한 진단의 정확성 여부가 증상에 대하여 약을 쓸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 만일 병의 요인을 알지 못하고 함부로 약을 쓴다. 갑골 복사로부터 상나라 사람들이 병이 생기는 Cause 을 네 가지로 보았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따 하나는 귀신이 해를 끼친 것이다. 예를 들면 `고(蠱)라는 벌레가 이에 병이 생기게 하였습니까?`라고 하였다. 세 번째는 음식을 조심하지 않아서 병이 생긴다고 여겼다. 고인…(생략(省略))
Download :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보는 질병과 의약.hwp( 27 )
병의 원인에 관한 진단의 정확성 여부가 증상에 대하여 약을 쓸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