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신화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06:47
본문
Download : 단군신화에 관하여.hwp
단군신화에 관하여
설명
Download : 단군신화에 관하여.hwp( 65 )
단군신화의 이모저모를 자세하게 쓴 리포트입니다. 곧 《삼국유사》에서 단군은 환인 · 환웅의 뒤를 이은 부계의 3대인 데 비해서, 《제왕운기》에서 단군은 환인 · 환웅으로 이어지는 가계로서는 4대째에 속하는 여인의 아들이 되는 것이다. 말하자면, 양자 사이에는 ꡐ바깥 존재/안의 존재ꡑ라는 대립이 있는 셈이다. 역시 다 같이 단군의 어머니이면서도 《삼국유사》에서는 환인 · 환웅으로 이어지는 부계(남계)의 가통(家統)에 혼인하여 들어온 여성임에 비해서, 《제왕운기》에서는 환인 · 환웅으로 이어지는 부계 그 자체의 혈통에 딸린 여인이다. 열심히 준비한 자료입니다^^단군신화이모저모 , 단군신화에 관하여기타레포트 ,
단군신화의 이모저모를 자세하게 쓴 리포트입니다. 이 ꡐ동물/신ꡑ의 대립은 다시 ꡐ지상/하늘ꡑ이라는 양분적 대립을 함축할 수 있을 것이다. 단적으로 ꡐ동물(곰)/신ꡑ의 대립이 두 기록 사이에 있게 된다된다. 전체 내용이 별로 다를 바 없으나, ④와 ⑤ 사이에서 크게 달라진다. 즉, 《삼국유사》의 웅녀가 사라지고 그 대신 환웅의 손녀가 등장한다. 이어 그 사이에 아기가 태어나니 이름하여 단군이라 하였고, 그가 조선의 지경에 의지해서 왕이 되었다고 《제왕운기》는 기록하고 있다아
④와 ⑤에 관한 두 기록 사이의 차이가 적어도 주어진 겉문맥상으로는 매우 심각한 것임을 알게 된다된다. 차이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어머니가 지닌 ꡐ안/밖ꡑ의 대립을 존중한다면 《삼국유사》와 《제왕운기》는 단군의 출자(出自)에 대상으로하여도 당연히 서로 다른 대립성을 보이게 된다된다. 환웅이 그 손녀로 하여금 약을 먹고 사람의 몸을 갖추게 한 연후 단수신(檀樹神)과 혼인하게 한다. 말하자면, 《제왕운기》는 단군을 환인 · 환웅으로 이어지…(투비컨티뉴드 )
단군신화이모저모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순서
다. 열심히 준비한 자료(資料)입니다^^
이 엮음새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지하고 있지만,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 帝王韻紀》를 따르면, 이야기의 짜임새에 다소간의 change(변화)가 있게 된다된다. 단군의 어머니라는 점에서는 동일한 인물인데도 한쪽은 곰이 화신한 여인이고, 다른 한쪽은 신이 화신한 여인이다. 전자가 가통 바깥이라면 후자는 가통 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