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7 19:45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hwp
資料title(제목) :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자료(data)명 :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펄만 理論의 기본전제는 삶이란 갈등의 연속이며, 결정은 매일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문제 또한 매일 계속 일어난다는 것이다.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에 대해 간략한 요약 및 정리(arrangement)자료(data).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작성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순서
Download :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hwp( 4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이하의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펄만은 1957년 문제해결과정(A problem-solving process)과 케이스워크(Social case work)라는 책을 발간하면서 문제해결과정 모델을 사회복지 분야에 소개하였으며, 개별사회사업의 목적은 치료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향상이라고 하였다. 장소는 사회시설 또는 기타 여러 종류의 복지기관을 말한다. 즉 Problem(문제)을 가지고 있는 Person(사람) 이 어떤 Place(장소)에 자신의 문제를 가지고 도움을 얻기 위해 찾아오게 되면 문제해결에 필요한 자원을 보완해 주는 Process(과정)를 활용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A+ 과제課題물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4665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4/%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A%A8%EB%8D%B8%5D%20%EB%AC%B8%EC%A0%9C%ED%95%B4%EA%B2%B0%EA%B3%BC%EC%A0%95%20%EB%AA%A8%EB%8D%B8-4665_01_.jpg)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4665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4/%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A%A8%EB%8D%B8%5D%20%EB%AC%B8%EC%A0%9C%ED%95%B4%EA%B2%B0%EA%B3%BC%EC%A0%95%20%EB%AA%A8%EB%8D%B8-4665_02_.jpg)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4665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2004/%5B%EC%82%AC%ED%9A%8C%EB%B3%B5%EC%A7%80%EC%8B%A4%EC%B2%9C%EB%AA%A8%EB%8D%B8%5D%20%EB%AC%B8%EC%A0%9C%ED%95%B4%EA%B2%B0%EA%B3%BC%EC%A0%95%20%EB%AA%A8%EB%8D%B8-4665_03_.jpg)
펄만의 문제해결과정 모델에서의 문제는 (1) 그것을 갖고 있는 사람에 의해 명확화되어야 하고, (2) 문제의 요인과 결과에 대한 사실과 그 사람의 생활공간에 타인이 어떠한 influence(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지를 명확히 해야 하고, (3) 어떠한 선택이나 결정을 내릴 경우 그 행동이나 물질적 수단이 개인의 문제나 그 문제와 사람과의 관계에 미치는 influence(영향)을 숙고해야 하고, (4)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문제해결자(problem solver)이어야 한다. 통합적 방법 모델로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문제해결과정 모델은 필만(Perlman)에 의해 1950년대에 개발된 것으로, 인간의 삶 그 자체가 끊임없는 문제해결과정이라는 가정 아래 최초로 문제를 사회복지실천의 change(변화)표적으로 제시한 모델이다. 펄만의 모델에 influence(영향)을 준 理論은 진단주의 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理論과 퍼스낼리티(Personality)理論, 에릭슨과 로버트 화이트(Erikson & Robert White)의 자아심리학, 기능주의 인 오토 랭크(Otto Rank)의 인격론, 사회학의 역할理論, 듀이(Dewey)의 자아의 반성적 사고의 과정, 주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개념 등이다.
문제해결과정 모델(problem-solving process model)은 심리역동적인 면을 강조하는 진단주의와 클라이언트의 창조적 자아능력을 강조하는 기능주의를 받아들인 절충주의 방식이다. 여기서 사람은 진단학파의 理論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을 분석하였고, 상황 속의 인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모델의 등장배경은 1930년대의 대공황 발생, 1940년대의 제2차 세계대전, 전쟁 후의 실업자 및 빈곤이라는 사회적 문제로 인한 민간단체의 경제부조기능의 약화, 공공기관의 책임강화 등이다. 즉 개인에 관한 것뿐 아니라 사회상황과 인간의 상호교류 전체를 파악한다.
설명
자료제목 :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문제는 어떤 욕구, 장애, 욕구불만 또는 부適應(적응) 등에서 때로는 이러한 모든 것들이 얽힌 것에서 일어난다. 그리고 인간은 문
다.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에 대한 report 資料입니다. 과정은 원조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과 클라이언트 간에 진전되는 업무로 의미심장한 인간관계 중에서 진행되는 일련의 문제해결을 말한다. <[사회복지실천모델] 문제해결과정 모델> 작성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필만은 문제해결과정을 4P로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