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 원칙과 융통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7-11 19:27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hwp
report - 원칙과 융통성
공자는 일찍이, 함께 배웠더라도 함께 도에 가지 못 하고, 함께 도에 가더라도 함께 입지하지 못하며, 함께 입지하더라도 함께 권의 경지에 들지 못한다고 말하여, 도의 성취단계를 학문의 단계로부터 도의 단계로 도의 단계를 지나서 입지하는 단계, 입지로부터 한 걸음 나아가 權을 실현하는 단계로 설명(說明)하였던 것이다. 즉 역동적이면서도 다양한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하나의 불변적 원칙만을 고집하는 태도나, 변화만을 중시한 나머지 그 변화 과정 속에 내재한 보편적인 규율을 간과하는 태도 등을 합리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말에서 학문을 통하여 도에 이르고 도를 통하여 입지하며 입지를 통하여 권을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문은 권으로서 그 완성을 이룩한다는 뜻으로 유학에서는 권도의 의미를 중요하게 취급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許愼의 『設文解字注』, 이철승,『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시대와 철학』제 21권 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p97 재인용.
공자나 맹자의 경우에 經과 權을 함께 일컬었던 것은 찾아보기 어려우며, 그 시대에는 예를 회복하는 것을 그 이상으로 여겼기 때문에 경의 본질적 의미에 해당하는 槪念
report - 원칙과 융통성
현대사회에서 살아가면서 우리가 지켜야할 원칙이 있고, 때로는 그 원칙을 벗어나서 판단을 내릴 때도 있다. 여기서 원칙은 ‘경’을 뜻하고, 그 원칙을 떠나 융통성을 가지고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합리적으로 판단을 하는 것이 ‘권’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report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report - 원칙과 융통성
經의 의미는 낱줄, 즉 옛날에 옷을 짤 때에 날줄을 먼저 걸고 씨줄을 후에 넣기 때문에 경은 어떤 것을 규정하는 근거이며 준칙의 의미를 갖는다. 원칙을 반드시 지켜야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 때로는 원칙과 융통성을 조율하여 판단을 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해 생각할 필요성(必要性)이 있다. 이철승,『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시대와 철학』제 21권 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p95 참조
report - 원칙과 융통성
權의 기본적으로 ‘저울’을 의미하는데 저울이 어떤 물건의 가벼움이나 무거움을 판별하여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듯 변화하는 현실에서 서로 다른 관점이 대립할 때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고르게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철승,『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시대와 철학』제 21권 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p93 참조.
.
설명
다. 이철승,『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시대와 철학』제 21권 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0, p95 참조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Download :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hwp( 79 )
.
순서
레포트 - 원칙과 융통성
Ⅱ. 초기 유학자들의 경과 권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report - 원칙과 융통성
.
공자와 맹자를 중심으로 하는 초기 유학자들은 보편 법칙에 해당하는 經과 구체적인 상황을 합당하게 조율하는 權를 통해 지혜로운 삶을 추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