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마이 페어 레이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17:40
본문
Download : 마이페어 레이디 감상문.hwp



티파니에서 아침’, ‘로마의 휴일’, ‘사브리나’, ‘전쟁과 평화’의 공통점이 무엇일까? 1950, 60년대 전 세계 모든 남성들의 연인이었던 여인. 오드리 헵번(Andrey Kathleen Ruston)이다.
이 영화를 본 것은 이번을 포함해서 벌써 3번째이다. 영화 곳곳에 나오는 노래와 율동은 작품을 감상하는 동안 지루할 틈을 만들지 못하게 한다. 중학교를 다니던 시절 토요명화에 나오던 ’로마의 휴일‘을 보고 오드리 헵번에 반해 그녀의 작품을 한 동안 빠져 살면서 보았던 영화이다. 특히 여기에 사용 된 상류층과 하층민이 사용하는 언어를 우리나라의 표준어와 방언의 대입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마이페어레이디, 오드리햅번, 언어, 감상문, My fair lady,
오드리햅번 주연의 마이페어레이디에 관한 글입니다.
[중요] 마이 페어 레이디
다. 지금부터는 이제까지의 감동위주의 감상이 아닌 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My fair lady를 말해 보고자 한다. 어느 로맨스 영화가 다 그렇듯 두 남녀의 미묘한 감정變化(변화)와 러브스토리도 흥미진진하지만 My fair lady는 하층민의 꽃 파는 처녀 ’일자이자‘를 언어학자인 히긴스가 6개월 간의 언어훈련을 통해 상류사회로 진출시키는 과정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는 영화이다.
설명
순서
Download : 마이페어 레이디 감상문.hwp( 69 )
극중에서 일라이자가 쓰는 영어는 영어전공자가 아닌 내가 들어도 한눈에 알 수 있는, 아니 영어를 조금이라도 접해 봤다면 누구나가 눈치 챌 수 있을 만큼 거칠고 투박하다. 단지 주인공이 오드리 헵번이라는 것만으로도 영화에 대한 어마어마한 호기심을 나에게 불러 일으켰던 작품이다. 세 번째 보는 영화지만 볼 때마다 새로운 감동을 나에게 안겨주는 이 영화는 작품에 뮤지컬적 요소가 가미된 독특한 영화이다.
오드리햅번 주연의 마이페어레이디에 관한 글입니다. 위에서 말한 작품들 외에도 ‘백만 달러의 사랑’, ‘파계’, ‘혈선’ 등 세기의 명작들에 출연하며 만인의 연인으로 불렸던 그녀. ‘My fair lady`는 그러한 오드리 헵번이 1964년 ’왕과 나‘의 주연배우를 맡았던 렉스 헤리슨(Sir Rex Harrison)과 같이 연기 호흡을 맞추었던 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