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경제중심국가건설의 환경정책과 환경협력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9 08:36
본문
Download : 동북아 경제중심국가건설의 환경정책과 환경협력방안.hwp
이들 지역에 대한 집중개발은 참여government 가 추진하고 있는 또 다른 국정목표(goal)중의 하나인 “더불어 사는 균형발전 사회”와 이의 실현을 위한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국정project와 상충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up동북아경제중심국가건설의환경정책과환경협력방안
환경친화적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을 위한 동북아 환경협력강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한 글입니다.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동북아 경제중심국가건설의 환경정책과 환경협력방안.hwp( 49 )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환경친화적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을 위한 동북아 환경협력강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 글입니다.
뿐만 아니라 동북아 경제중심 국가 건설 국정project가 기존 패러다임으로 추진된다면 그 influence(영향)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남북경협 등을 통해 북한 지역으로까지 파급되어 한반도 전체에 環境문제를 초래하고 지속가능성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아 그리고 중국(China) 등 역내 국가들이 개발과 성장위주의 국가발전 戰略을 추진할 때 야기될 산성비, 황사, 황해오염 등 동북아지역 環境 악화로 지리적 인접성과…(skip)






다.up동북아경제중심국가건설의환경정책과환경협력방안 , 동북아 경제중심국가건설의 환경정책과 환경협력방안경영경제레포트 ,
동북아 경제중심국가건설의 환경정책과 환경협력방안
순서
I. 문제의 제기
Ⅱ. 동북아 環境협력의 내역 및 문제가되는점
1. 각국 government 간 環境협력의 내역 및 문제가되는점
2. 우리나라 環境산업의 동북아시장 진출 내역과 한계: 중국(China)을 중심으로
3. 남북 環境협력의 내역과 평가
Ⅲ. 環境친화적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을 위한 동북아 環境협력강화 方案
1. 동북아 環境협력체제의 강화方案
2. 동북아 環境시장 진출 활성화 方案: 중국(China) 環境시장을 중심으로
3. 남북 環境협력 제고 方案
Ⅳ. 맺음말
출처
I. 문제의 제기
참여government 는 3대 국정목표(goal)의 하나로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 시대”를 여는 것을 설정하고 있다아 이러한 국정목표(goal)의 실현의 위해 참여government 는 point 국정project로서 ‘동북아 경제중심국가 건설’을 제시하고 있다 청와대, 참여government 의 국정비전, http://www.president.go..kr/vision/agenda
. 동북아 경제중심 국가건설 project의 내용을 살펴보면 동북아 물류네트워크 중심,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 동북아 첨단산업 중심 등을 건설하고 남북·동북아 경제협력 강화 등 네 가지 세부project의 실현을 통해 2만달러 시대를 향한 한반도 전체의 경제개발과 성장戰略으로 이해된다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동북아경제중심 실현의 기본방향」(제3차 국정project회의 ), 2003.5.2, http://www.nabh.go.kr/warp/app/pds/policy.
. 이는 동북아 경제중심 국가건설의 목표(goal)가 우선적으로 역내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기반강화에 중점이 두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project의 세부 추진方案으로 물류시설 기반조성을 위한 대규모 개발, 경제자유구역 지정운영과 외국투자의 적극 유치 등 구체적인 方案들이 거론되고 있다아 이로 인하여 관련 제도改善(개선) 의 명분아래 수도권 등 개발 후보지역의 각종 경제 및 環境관련 규제완화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